경영.직장

사회생활팁(직장,일상생활)

쫄깃탱 2020. 6. 13. 08:24
반응형

업무를 볼 때 틀을 만들어둔다

최초의 틀에 힘을 쏟아 두면 나머지는 패턴이 되니 편리합니다.

패턴화가 가능한 이유는 창의적인 일인 디자인에도 규칙이 있고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행간은 ‘글자 급수×1.6을 기본으로 한다’라는 것이 나의 업무 루틴 중 하나다. 또한 ‘가장자리에서 몇 밀리미터를 띄울 것인가’는 8밀리미터나 12밀리미터 중에서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규칙을 찾아나가다 보면 점점 효율이 좋아집다.

창의성이 필요한 일일수록 오히려 ‘답이 있다’는 가정하에서 진행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한한 창의성의 늪에서 영원히 그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 빠지고 맙다.

자신만의 노하우나 규칙을 찾아 나가면서 일을 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열심히 해 봤자 그저 헛수고로 끝나게 됩다. 자기 나름의 법칙을 찾지 못한 채 계속해 본들 10년이 지나고 20년이 지나도 성장하지 못한다는 말입다.

일을 패턴화한다

다른 업종 사람들과 진행하는 프로젝트일 경우 사전에 특징을 파악해두면 상대방이 지방자치단체이건 기업이건 동일한 패턴으로 진행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당황스러운 일을 피할 수 있고, 돌발상황이 생기더라도 패턴에 맞춰 대응할 수 있다.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의 패턴을 토대로 절차를 세우면 대체로 일이 순조롭게 풀리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때 포인트는 고려해야 하는 패턴의 수를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다. 한없이 많은 패턴 가운데 ‘오늘은 어떤 패턴을 적용해야 할까?’ 하고 일일이 적용해 보다가는 패턴화가 무의미해집니다.

간단한 일 또한 패턴화 하는 게 좋습니다. 간단하고 익숙한 일이라면 아예 처음부터 시작한들 그다지 큰 수고가 들지는 않겠지만, 티끌이 모여 태산을 이루듯 시간 손실이 커진다. 간단한 일이라고 해도 패턴화를 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반대로 패턴화를 하면 시간 낭비가 줄고 여유가 생길 것이다.

 

긍정적인 사고와 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굳이 가고 싶지도 않은 자리에 참석해야만 하는 상황이 많아지게 되는데, 아마도 이런 상황이 생길 때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실 겁니다. ‘차라리 집에서 쉬고 싶다.’ ‘지루할게 안 봐도 훤히 보이네.’ ‘친해질 마음은 별로 없지만 그래도 한 번이라도 대면하면 나쁠 거 없겠지.’ 등 가기 싫은 모임에 가기 전에는 온갖 생각이 먼저 떠오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거의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이러한 모임에 참석해서 억지로 미소를 지으며 분위기를 해치지 않고 어울리는 쪽을 선택합니다. 그러나 이런 모임에서도 마음가짐 하나만 바꾼다면 지루한 모임을 사교의 모임으로 충분히 바꿀 수 있습니다.

 

바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는 것인데요.  부정적인 말을 자주 하다 보면 감정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매우 쉽습니다. 모임에 나간 뒤에 부정적인 말을 자주 하는 사람과 긍정적인 말을 자주 하는 사람을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아마도 긍정적인 말을 자주 하는 사람이 평상시에도 더 좋은 느낌의 사람이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긍정적으로 말하는 연습을 하다 보면 나와 대화를 나누는 상대에게 더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확률이 매우 많이 올라갑니다. 실제로 많은 연구 결과도 말해주고 있는데, 실제 사용하는 언어가 당사자의 사고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면 정신 건강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대화를 할 때 경청하는 자세를 취하라

소통의 기술의 기본은 대화를 나눌 때에 상대의 눈을 바라보며 소통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이 기술은 대부분 한 번쯤 들어봐서 잘 알고 있는 기술이지만 막상 실천은 안 하는 사람이 수두룩할 것입니다. 거기에다가 대화를 나눌 때에 상대에게 몸을 살짝 기울이면 상대방은 그것을 경청하는 자세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소통을 잘하는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편안한 자세로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거나, 호기심, 다채로운 언어 구사력과 표정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언어 구사력에는 당연히 몸으로 표현하는 보디랭귀지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상대방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열린 마음으로 리액션까지 아끼지 않는다면 훌륭한 매력이 넘치는 대화 상대가 될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내게 관심을 주길 기다릴 바에 내가 남에게 관심을 가진다면 대인관계는 훨씬 더 좋아질 것입니다.

 

■잘못을 인정할 줄 알아라

무언가 의견차이가 있을때, 내 잘못이 아닌 상대방의 잘못이나 잘못되었던 상황으로 인한것이라고

이야기하여 상황 자체를 회피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은 상대의 말을 존중하고 귀기울이며 고칠점이 무엇이 있고 잘못한것이 무엇이 있는지 잘 듣고

개선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